
부모님께서 밥을 먹고 바로 누우면 역류성 식도염 걸릴 수 있으니, 눕지 말라는 말씀을 많이 하셨습니다. 하지만 밥을 먹고 나면 배가 빵빵해져 눕지 않고서는 너무 힘에 겨워 결국 드러눕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습관들로 인하여 살도 찌게 되고, 소화도 잘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어느 날부터인가 속이 더부룩하고, 트림이 자주 나오며, 신물이 올라오는 느낌을 받았는데 그게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이라고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에 대하여 알아야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으니 지금부터 알아 보겠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역류성 식도염이란 위 식도 역류 질환의 일부로서 위에서 분비된 내용물들(위액, 소화 효소 등)이 식도를 역류하여 염증성 손상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위와 식도 사이에는 '괄약근'이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위 속의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오는 것을 막아주는 조임쇠 역할을 합니다. 괄약근의 조절 기능이 약해지면 경계 부위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은 경우에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게 됩니다. 이 위산은 강한 산성을 띠는데 위장 속에 있을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식도로 역류하여 올라오게 되면 식도는 위산을 견딜 수 없어 염증이 발생합니다. 이 같은 역류의 과정이 반복되어 식도 점막이 위산에 과다하게 노출될 경우 식도염뿐만 아니라 식도궤양이나 식도협착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위 식도 역류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위내시경을 하여 식도염의 소견이 있는 경우 역류성 식도염이라 하며, 식도염의 소견이 없을 경우 비 미란성 역류 질환이라고 합니다.
원인
역류성 식도염의 경우 나이가 들수록 늘어나는 만성질환들과 달리 20~30대 환지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한번 발병하면 80% 이상이 재발을 겪는 만성적인 질환이라 주의해야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은 목의 하부식도괄약근의 조이는 힘이 약하거나 기능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원인은 보통 잘못된 식습관에서 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밥 먹는 속도가 지나치게 빠를 경우 위염 발병률이 높습니다. 식사시간이 15분 이내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위염의 발병률이 최대 1.9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밥을 먹고 바로 눕거나 구부릴 경우 위 내용물이 식도에 가까워져 식도 역류가 쉽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나쁜 식습관 외에도 비만이나 잦은 음주, 흡연 등이 안 좋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최근에는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탄산음료나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이나 알코올이 있는 술, 기름이 많은 음식, 과식, 흡연 등이 하부식도괄약근의 기능을 약화시키게 됩니다. 그뿐 아니라 과다하게 위산분비를 촉진시켜 식도 점막을 손상시키고 속을 쓰리게 합니다. 또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경우 위장운동을 방해하여 식도염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증상
역류성 식도염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트림을 자주 하게 됩니다. 식도에서 위산이 분비됨과 동시에 트림이 나오게 되는 현상입니다. 또 다른 증상으로는 가슴부터 목까지 타들어가는 느낌을 받는데 그 이유는 강한 산성의 위액들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식도를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하여 가슴이 답답하고 호흡곤란이 올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통증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소화가 잘 안되어 신물이 자주 넘어오고, 가래와 기침을 자주 하게 되며, 위산이 역류하면서 헛구역질도 많이 하게 됩니다. 이런 증상들이 여러 개 중복 되어 나타나게 되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계속해서 방치를 하다 보면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되는데 식도 쪽으로 역류하는 위산 때문에 식도가 손상되며, 식도가 약해지면 합병증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예방과 치료
1. 잠들기 전 2시간 이내에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 식사를 할 때 반듯하게 올바른 자세로 앉아서 먹고, 식후에는 적어도 2~3시간 동안 눕지 않습니다.
3. 식사는 규칙적이게 하고 과식을 피합니다.
4. 운동을 통하여 체중을 정상으로 유지하며, 비만일 경우 체중을 감량해야 합니다.
5. 술, 담배, 기름진 음식, 커피, 홍차, 초콜릿, 박하 등은 괄약근의 압력을 낮추기 때문에 삼가는 것이 좋고, 단백질 식품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6. 일상생활을 할 때 상체를 숙이는 행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도염 환자의 경우 잠 잘 때 침대의 상체 부분을 6~8인치 정도 올려준 후 취침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7. 몸에 너무 꽉 끼는 옷은 복압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편안한 옷을 입어줍니다.
8. 토마토(위에 좋은 음식이므로 익혀 먹음), 탄산음료, 신과일 주스 등 식도 점막을 직접적으로 자극하는 음식들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여 복압을 높여 위산 역류를 일으키는 변비를 예방합니다.
9. 요구르트와 우유는 식도염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식도염에 좋은 음식
1. 양배추 : 양배추는 세계 3대 장수 식품 중 하나로 꼽히며, 위장에 매우 좋은 최고의 식재료입니다. 비타민U 성분이 풍부하여 위장 점막을 보호하고 강화해주며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기 때문에 역류성 식도염에 좋습니다. 또한 비타민K 성분이 풍부하여 위장 내 염증에 의한 출혈을 지혈해줍니다. 즙을 내서 먹는 것이 흡수가 빠르고 효과적입니다.
2. 브로콜리 : 브로콜리는 비타민U 성분이 풍부하여 위와 장을 보호해주는 효과가 있고, 따뜻한 음식이기 때문에 위와 장이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 좋습니다.
3. 감자 : 감자는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 위산 분비를 억제해주고 속을 편안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소화 흡수에 도움을 줘서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해주고 역류성 식도염으로 인해 식도 점막에 생긴 염증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쪄 먹는 것보다 즙을 내어 먹는 것이 흡수가 빨라 효과가 좋습니다.
4. 연근 : 연근의 뮤신 성분은 단백질의 소화를 촉진하며 연근의 껍질과 마디에 함유된 타닌 성분은 점막 조직의 염증을 완화해줍니다.
5. 알로에 : 화상 치료에 도움이 되는 알로에는 식도나 위장의 염증을 가라앉히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생으로 섭취했을 때 효능이 좋아 껍질을 깐 알로에 베라를 다양한 야채들과 소스를 곁들여 샐러드로 먹어도 좋고, 사과와 요구르트를 함께 갈아서 주스로 만들어 먹어도 좋습니다.
6. 마늘 : 마늘에는 알리신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는데 위장을 자극하여 소화를 돕습니다. 또한, 비타민B의 흡수를 도와 항암효과에 뛰어난 효능을 보입니다. 마늘은 생으로 먹는 것이 영양분이 가장 많지만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 사람들은 마늘의 자극적인 식감 때문에 가슴 통증이 심해질 수 있어서 꿀에 절여 숙성시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 좋은 음식
1. 카페인 : 커피나 녹차에 함유된 카페인은 식도를 자극하여 안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2. 너무 뜨거운 음식 : 뜨거운 음식을 잘못 먹게 되면 입 속에서 궤양이나 물집, 염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환자들은 화상이나 자극을 견디지 못할 뿐 아니라 상처가 난 식도 점막을 회복하지 못하여 식도 안 염증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3. 물 : 상열감 때문에 물을 자주 마시게 되지만, 소화 기능이 떨어진 역류성 식도염 환자들의 경우 너무 물을 자주 마시게 되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4. 산이 강한 과일 : 오렌지나 귤 같은 산이 강한 과일은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좋지 않습니다.
5. 밀가루 음식 : 밀가루로 만든 음식은 위에 부담을 주고, 위산을 과다하게 분비시켜 역류성 식도염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6. 맵고 짠 음식 : 위벽을 자극하여 점막을 손상시킵니다. 또한, 우리 몸에 흡수된 후 역류하게 되면 위산과 섞여 그 자극이 매우 강해 식도염 증상이 더욱 악화되고, 역류 과정에서 심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지금까지 역류성 식도염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알아보고 나니 저는 안 좋은 습관을 다 가지고 있었던 거 같습니다. 앞으로는 귀찮고 힘들더라도 예방법을 잘 지켜 식도염이 심해지는 것을 방지해야겠습니다.